프로그램
PROGRAM

검사 프로그램

심리검사

소요시간 : 2시간 (결과상담포함)

검사도구 검사설명
HTP House-Tree-Person Test: 집-나무-사람 그림검사
- 피검자에게 집, 나무, 인물화 등 3개의 그림을 그리게 하는 투사검사로 개인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검사입니다. 그려진 그림의 크기, 선의 강약, 그려진 그림의 위치, 원근, 대칭, 음영 등 표현의 양상에 따라 그린 사람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어 심리적 측면이나 감정, 생각 등을 나타내주는데 있어 매우 효과적입니다.
SMS Social maturity Scale : 사회 성숙도 검사
- 사회성숙도 검사는 사회성이 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인식하고 적응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것입니다. 출생부터 30세까지의 자조능력, 이동능력, 작업능력, 의사소통, 자기관리능력, 사회화 등과 같은, 적응 행동의 표본이 된다고 할 수 있는 12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검사 실시 시 피검사자가 검사 장면에 참석하지 않아도 보호자나 교사의 보고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습니다. 검사 문항을 행동 영역별로 검토하므로 피검사자의 영역별 행동 수준을 측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량화된 점수를 통해 적응행동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SCT Sentence Completion Test : 문장완성검사
미완성 문장을 제공한 후 나머지 부분을 피검사자가 스스로 채우게 하는 검사로, 피검사자가 완성하는 문장을 검토하여 현 심리상태를 파악합니다. 한 개인이 가진 가치관이나 내면의 동기와 갈등, 중요한 인물들에 대한 정서적인 태도 등을 알 수 있습니다.
VMI Developmental Test of visual-Motor Integration : 시각-운동 통합검사
초기 도형은 어린 아동이나 중도 장애아동에게 성공을 경험하게 하는 반면, 복잡한 도형은 청소년에게 도전심을 줍니다. 청각장애나 언어장애아에게도 사용가능하며 여러 가지 심리진단건사를 실시하기 위한 기초 준비검사로 사용됩니다.
K-CBCL Korea-Child Behavior Checklist :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아동, 청소년기의 사회적 적응 및 정서, 행동 문제를 부모가 평가하는 것으로, 아동, 청소년의 심리장애 진단에 유용한 임상적 도구입니다.

발달검사

소요시간 : 2시간 (결과상담포함)

검사도구 검사설명
DDSTⅡ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 덴버 발달 선별 검사
- 출생부터 만6세까지의 아동에게 사용하도록 개발되어 연령에 적합한 검사 항목의 수행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개인-사회성 영역, 미세운동 및 적응 영역, 언어영역, 운동영역의 발달정도를 평가하며, 이 검사를 통하여 발달지연 또는 문제의 가능성이 있는 아동을 선별할 수 있는 객관적인 평가도구입니다.
SMS Social maturity Scale : 사회 성숙도 검사
사회성숙도 검사는 사회성이 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인식하고 적응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것입니다. 출생부터 30세까지의 자조능력, 이동능력, 작업능력, 의사소통, 자기관리능력, 사회화 등과 같은, 적응 행동의 표본이 된다고 할 수 있는 12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검사 실시 시 피검사자가 검사 장면에 참석하지 않아도 보호자나 교사의 보고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습니다. 검사 문항을 행동 영역별로 검토하므로 피검사자의 영역별 행동 수준을 측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량화된 점수를 통해 적응행동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K-CDI Korean-Child Development InventoryI : 아동발달검사
부모보고를 통하여 15개월에서 만6세 사이 아동의 발달상의 문제를 조기에 선별하는 검사입니다. 아동의 발달 상태를 측정하는 8개 하위발달척도(사회성, 자조행동, 대근육운동, 소근육운동, 표현 언어, 언어이해, 글자, 숫자)와 전체발달영역 그리고 부가적인 정보를 통해 문제항목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어 아동에 대한 심도 있는 발달적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KPPS Knox Preschool Play Scale : 녹스 학령전 놀이척도검사
- 6세까지의 아동들의 놀이를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관찰하여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척도는 0∼3세까지는 6개월 간격으로, 3∼6세까지는 1년 단위로 구분되어 있으며, 공간관리(space management), 교재관리(material management), 가장/상징(pretense/symbolic), 참여(participation)의 4가지 차원(dimension)에 대하여 검사합니다.
PAT Parenting Attitude Test : 부모양육태도 유형검사
- 유아부터 초등학생, 청소년 자녀를 둔 보호자의 양육 태도를 검사는 것으로, 보호자가 직접 검사문항을 체크합니다. 이 검사를 통하여 지지표현, 합리적 설명, 성취압력, 간섭, 처벌, 감독, 과잉기대, 비일관성의 부모태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지각검사

1시간 ~ 1시간 30분 (결과상담포함)

검사도구 검사설명
K-DTVPⅡ Korean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 시지각 발달검사
- 만4세부터 8세까지 아동에게 총 8개 하위검사를 통해 시지각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K-DTVPⅡ는 학습장애 등 문제를 보이는 유아 및 아동들에게 실제 시지각 기관 상의 장애 여부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 검사를 통하여 순수한 시지각 능력과 시각-운동 통합능력을 함께 측정할 수 있습니다.

언어검사

2시간 (결과상담포함)

검사도구 검사설명
SELSI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 영유아 언어 발달 검사
- 생후 5개월에서 36개월 영유아의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발달 지체를 조기에 선별할 목적으로 실시하는 선별검사입니다. 주 양육자의 보고 및 치료사가 영유아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실시한고, 이 검사를 통해서 언어장애의 선별 뿐 아니라 그 결과를 통하여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의 발달연령, 백분위, 영역별 편차 등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언어장애 아동들의 언어 능력에 대한 대략적인 언어발달 정도를 알 수 있게 해 주는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K-M-B
CDI
Korean The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 의사소통 발달평가
- 영아용과 유아용의 두 버전이 있습니다. 8-36개월 사이 영유아를 대상으로 어휘사용력과 제스처와 놀이 및 문법 수준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아동의 언어나 의사소통 능력을 잘 알고 있는 주양육자나 성인이 체크리스트를 보고 아동의 능력을 재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영아용(8-17개월 수준용)에는 284개의 낱말과 60항목의 제츠처와 놀이 (의사소통을 위한 제스처 사용 12개, 게임과 일상생활 6개, 사물가지고 놀기 17개, 어른의 행동 모방하기 12개, 인형놀이 13개) 관련 문항이 포함됩니다. 어휘는 개월별로, 제스처와 놀이는 3개월 집단별로 정보가 제공됩니다. 영아용의 경우 표현낱말과 이해낱말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합니다.
- 유아용(8-36개월 수준용)에는 641개의 낱말과 5개의 문법사용정도를 보는 항목, 32쌍의 문장쌍 항목으로 된 문법 부분을 포함합니다. 유아용의 경우 표현낱말 위주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문법 부분은 3개월 집단별(36개월 아동을 제외한)로 정보가 제공됩니다.
U-TAP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 우리말 조음-음운 평가
- 2세부터 12세 아동이지만, 그림을 이용하여 명명하거나 설명하는 과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취학 전(3-6세) 아동들에게 가장 적합합니다. 낱말 수준에서의 자음 및 단모음 검사(그림 낱말 검사)와 문장 수준에서의 자음 및 단모음 검사(그림 문장 검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림을 이용하여 명명하거나 설명하는 과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취학 전 (음소의 종류, 조음 위치, 조음 방법 등에 따라 분석을 실시합니다. 또한 자음 정확도를 구하여 아동의 조음이 정상 발달 연령보다 지체되는지 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PRES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 취학 전 아동의 수용 언어 및 표현 언어 발달 척도
- 만 2세부터 만 6세까지의 아동들의 언어 이해 수준뿐 아니라 표현 능력까지 평가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두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영역별로 3세까지는 3개월 간격으로, 3세에서 6세까지는 6개월 간격으로 연령단계가 세분화되어 있고, 각 연령단계마다 3문항씩 45문항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아이들이 흥미 있어 하는 컬러 그림과 친숙한 장난감들로 재미있게 검사에 임하면서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합니다.
REVT Receptive &Expressive Vocabulary Test : 수용, 표현 어휘력 검사
- 만 2세 6개월부터 만 16세 이상 성인의 수용 및 표현 어휘력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어휘능력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검사대상자의 어휘 발달수준을 백분위 점수로 제공하여 같은 생활연령대의 대상자들에 대한 상대적인 어휘 발달수준을 제시하며 품사별, 의미 범주별 수행 분석을 통하여 치료 진행시 목표어휘의 선정과 치료 효과를 점검하는데 활용됩니다.
구문 의미
이해력 검사
만 4세에서 초등학교 3학년 정도의 구문이해력 범주에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합니다. 언어이해력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 중 특히 구문의미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아동을 판별하고 단순 언어장애 아동의 하위유형을 판별하거나 여러 언어 하위영역 중에서 구문의미에 대해 아동이 가지고 있는 강점과 약점을 평가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언어문제
해결력검사
만 5세부터 만 12세까지 언어적 추리력과 조직기술이 부족한 아동, 학습장애가 의심되는 아동에게 실시합니다. 특정 상황에서 대답하는 능력을 평가함으로써, 언어를 통한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고 특히, 언어적 추리력과 조직 기술이 부족한 아동들, 학습장애가 의심스러운 아동들, 단순 언어 장애가 의심스러운 아동들의 언어 사용 능력, 기타 언어 장애 아동들의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합니다.
임상관찰 치료사가 구조화된 놀이 상황에서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여 이를 통해 아동의 화용, 구문, 의미, 인지, 조음, 상징놀이의 발달 등을 부분을 분석하여 평가합니다.

감각통합검사

2시간 (결과상담포함)

검사도구 검사설명
SP2 ensory Profile 2 : 감각 프로파일 2
- 아동의 감각처리 유형을 평가하는 표준화된 검사입니다. 아동의 감각 처리 및 설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설문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별적인 감각처리 패턴과 장애 유무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COMPS Clinical Observation of Motor and Postural Skill : 임상관찰
- 5 ~ 15세 신경근계 및 감각통합기능장애가 의심되는 영유아 청소년을 대상으로 감각계, 운동계, 반사-반응 등의 신경근계, 동안계, 근골격계 등 평가를 위한 검사도구입니다. Ayres가 제시한 임상관찰 내용 중 발달성 실행장애 또는 협응장애 아동에게 실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천천히 움직이기(slow movements), 빠른 전환 회전(rapid forearm rotation), 손가락으로 코 만지기(finger-nose touching), 엎드린 자세에서의 신전(prone extension posture), 비대칭성 긴장성 경반사(asymmetrical tonic neck reflex), 바로 누운 자세에서 굴곡(supine flexion posture)의 6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BOT-2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Second edition : 운동능력 평가도구
- 4 ~ 21세 동작훈련 평가와 발달을 위해 사용되는 검사도구입니다. 대운동 및 소운동 기술능력 측정뿐만 아니라 운동 숙련정도의 전반적인 지표를 제시하며, 운동능력 평가도구 중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대동작, 소동작 및 기타 전신균형 기능을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즐겁게 검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게임같이 도전할 수 있는 평가항목을 구성하여 아동이 흥미를 느끼며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SMS Social maturity Scale : 사회 성숙도 검사
- 사회성숙도 검사는 사회성이 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인식하고 적응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것입니다. 출생부터 30세까지의 자조능력, 이동능력, 작업능력, 의사소통, 자기관리능력, 사회화 등과 같은, 적응 행동의 표본이 된다고 할 수 있는 12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검사 실시 시 피검사자가 검사 장면에 참석하지 않아도 보호자나 교사의 보고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습니다. 검사 문항을 행동 영역별로 검토하므로 피검사자의 영역별 행동 수준을 측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량화된 점수를 통해 적응행동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KPPS Knox Preschool Play Scale : 녹스 학령전 놀이척도검사
- 6세까지의 아동들의 놀이를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관찰하여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척도는 0∼3세까지는 6개월 간격으로, 3∼6세까지는 1년 단위로 구분되어 있으며, 공간관리(space management), 교재관리(material management), 가장/상징(pretense/symbolic), 참여(participation)의 4가지 차원(dimension)에 대하여 검사합니다.
DDSTⅡ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 덴버 발달 선별 검사
- 출생부터 만6세까지의 아동에게 사용하도록 개발되어 연령에 적합한 검사 항목의 수행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개인-사회성 영역, 미세운동 및 적응 영역, 언어영역, 운동영역의 발달정도를 평가하며, 이 검사를 통하여 발달지연 또는 문제의 가능성이 있는 아동을 선별할 수 있는 객관적인 평가도구입니다.

종합검사

3시간 (결과상담포함)

검사도구 검사설명
K-WISC-IV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V :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
- 만6세 0개월부터 16세 11개월까지의 아동의 인지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개별 검사도구입니다. 다양한 인지기능 평가_인지 능력이 평균 이하로 추정되는 아동, 아동의 인지기능을 재평가해야 하는 아동, 낮은 지적능력이 아닌 신체적·언어적·감각적 제한이 있는 아동, 청각장애아 또는 듣는 데 어려움이 있는 아동의 평가 등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인 지적 능력과 특수한 영역에서의 인지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인지능력의 결함이나 손상을 평가할 수 있고, 인지능력의 평가를 통하여 피검사자의 심리진단과 치료계획을 세우기 위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됩니다.
RORSCHACH
TEST
RORSCHACH TEST : 로샤검사
- 성격검사로서 이 검사를 통하여 인지과정이나 자아상 및 대인관계의 주요한 특징을 알아냄과 동시에 개인의 정신병리를 진단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즉, 개인의 사고나 정서, 현실지각, 대인관계 방식 등 다양한 측면의 인격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무엇보다도 효과적이며, 주관적이고 투사적인 것이 특징입니다. 피검사자의 현재를 있는 그대로 반영해주며, 프로토콜에서 얻어진 자료를 근거로 피검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시켜 심리적인 측면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BGT Bender Gestalt Test: 벤더게슈탈트검사
- 간단한 기하학적 도형을 보여주고 따라 그리도록 하는 검사로, 시각 - 운동 협응기술을 측정할 수 있고, 이 검사들을 통하여 나온 정보로 인지, 정서, 성격 등의 심리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벤더게슈탈트검사는 피검사자의 나이나 문화와 무관하게 실시하고 해석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HTP House-Tree-Person Test: 집-나무-사람 그림검사
- 피검자에게 집, 나무, 인물화 등 3개의 그림을 그리게 하는 투사검사로 개인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검사입니다. 그려진 그림의 크기, 선의 강약, 그려진 그림의 위치, 원근, 대칭, 음영 등 표현의 양상에 따라 그린 사람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어 심리적 측면이나 감정, 생각 등을 나타내주는데 있어 매우 효과적입니다.
DAP Drawing A Person : 인물화 검사
- 인물화를 통한 성격진단 검사로 다른 여러 가지 투사검사 보다 깊이 있는 무의식적 심리현상을 표현할 수 있으며, 피검사자의 내면세계 즉 흥미, 욕구, 갈등, 성격, 인지능력 등을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KFD Kinetic Family Drawing : 동적 가족화
- 자시의 가족을 모두 그리되 무엇인가 하고 있는 그림을 표현하는 것으로, 피검사자 가족 내에서의 자기 자신과 다른 가족구성원에 대한 지각을 파악할 수 있고, 가족간의 상호작용과 역동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즉 가족 내의 권력이나 친밀도, 단절감과 같은 가족 특유의 분위기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CAT Children Apperception Test : 아동용 회화통각검사
- 아동용의 투사적 성격검사로 유아기와 아동기에 주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심리적 문제들이 쉽사리 투사될 수 있는 그림들을 사용하여 어린이의 대인관계, 사회적 상호작용, 동일시양식 등과 같은 보다 구체적인 문제들을 반영하는 반응을 나타나게 하는 검사입니다. 이를 통하여 아동들이 지니고 있는 욕구체계 및 갈등과 상황처리와 같은 성격적 특징들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SCT Sentence Completion Test : 문장완성검사
- 미완성 문장을 제공한 후 나머지 부분을 피검사자가 스스로 채우게 하는 검사로, 피검사자가 완성하는 문장을 검토하여 현 심리상태를 파악한다. 한 개인이 가진 가치관이나 내면의 동기와 갈등, 중요한 인물들에 대한 정서적인 태도 등을 알 수 있다.
MMPI The Minnesota Personality Inventory : 다면적 인성검사
- 보호자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검사입니다. - 국내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성격유형 검사로 실제 임상 장면에서 연구자들이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다른 검사들에 비해 더욱 실질적이고 직접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10개의 임상척도와 4개의 타당도 측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편하게 객관적으로 피검사자의 심리적 문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PAT Parenting Attitude Test : 부모양육태도 유형검사
- 유아부터 초등학생, 청소년 자녀를 둔 보호자의 양육 태도를 검사는 것으로, 보호자가 직접 검사문항을 체크합니다. 이 검사를 통하여 지지표현, 합리적 설명, 성취압력, 간섭, 처벌, 감독, 과잉기대, 비일관성의 부모태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